이렇게 기온이 올라가다가 우리나라가 아열대 기후로 변하는건 아닐까 걱정되는데요. <br /> <br /> 실제 그런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열대성 해충이 몰려오는 현장, [더깊은뉴스] 변종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[이병남 / 경남 창원시] <br />"다 죽었어요. (마음 아프시겠어요?) 뭐…" <br /> <br /> 봄부터 고생해서 키운 사과대추를 따 보지만 죽은 열매만 한가득입니다. 자세히 살펴보니 가지마다 회색 벌레가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. 외래종 해충인 '미국선녀벌레'입니다. <br /> <br />[현장음] <br />"이것 봐봐, 이거는 아이고…" <br /> <br /> 이미 과수원 전체를 뒤덮었습니다. <br /><br />"겉 보기에는 멀쩡한 과일나무의 뒷 면을 보시면 하얀색 미국선녀벌레가 나뭇 가지와 나뭇잎을 휘 감은 채로 덕지 덕지 달라 붙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 미국선녀벌레는 나뭇가지에 있는 수액을 빨아 먹는데 그렇다 보니 나무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피해를 입게 됩니다." <br /><br />무더위가 길어지면서 미국선녀벌레 발생 건수는 지난해 2796건으로 4년 전보다 60배 이상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<br />[민찬식 / 경남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] <br />"장마가 끝나고 나면 다시 온도도 높아지고 습도도 높아지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굉장히 좋아집니다." <br /> <br /> 8년 전 미국선녀벌레가 처음으로 발견 됐던 경남 밀양을 찾아가 봤습니다. 초여름부터 방제를 시작했지만 소용 없습니다. <br /> <br />[노상석 / 경남 밀양시] <br />"사과농사는 1년 농사 안 된다고 봐야죠. 나무도 죽이니까." <br /> <br /> 폭염이 이어지면서 해충의 활동은 더욱 왕성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전문수 / 경남 밀양시] <br />"수풀이나 덤불 속에서 개체수가 늘어나다 보니까 덤불 속에 근본적인게 안 없어지기 때문에…" <br /> <br /><br /> 충남 서산지역의 옥수수밭. 이곳은 중국에서 건너온 해충 때문에 밭 전체가 초토화됐습니다. 범인은 바로 멸강나방 애벌레. 낮엔 땅에 숨어있다가 밤에 나와 농작물을 갉아 먹는데, <br /><br />'강토를 멸망시킨다'는 이름이 말해주듯 농가에 큰 피해를 줍니다. <br /><br />[이수호 / 충남 당진시] <br />"멸강나방이 왕성하게 먹을 때에는 10m 밖에서도 옥수수를 먹는 소리가 와글 와글 들릴 정도로 심하고…" <br /><br />폭염은 깊은 산 속에 사는 소나무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잎이 붉게 변한 소나무, 소나무의 에이즈라 불리는 재선충병에 감염됐습니다. 재선충병은 솔수염하늘소의 몸에 사는 기생충이 나무에 침입해 수분을 빨아 먹으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. <br /> <br />강원지역의 솔수염하늘소는 지금까지 해발 700m 아래에서만 서식하는 걸로 알려져왔습니다. <br /> <br /> 그러나 최근 강원도 정선에서는 해발 800m 부근에서 소나무 재선충병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<br />제주도에선 해발 9백미터 고지에서도 재선충 소나무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[노희부 /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] <br />"재선충이나 매개충이 일정 온도가 돼야 증가되거든요. 온도가 올라가면 재선충이 한 마리에서 두 마리로 확산되는 게 빨라진다." <br /><br /> 무더운 날씨에 활동이 왕성한 곤충은 사람의 목숨도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"작은소참진드기를 아십니까? <br /> <br />일명 '살인진드기'라 불리며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데요. 평소 길이는 3mm에 불과하지만, 피를 빨았을 땐 10배 가까이 몸이 커집니다. <br /> <br />무더운 여름철 야외 활동객을 노리고 있습니다. 치사율 30%. 고열과 두통 등을 일으키는데 노약자들에겐 더욱 치명적입니다. <br /> <br />2013년 처음 발견된 살인진드기 발견 첫 해 36명이었던 감영자수는 지난해 약 5배나 늘어났습니다. 올해만 벌써 48명의 환자가 발생했고, 이 중 13명이 숨졌습니다. 예방하는 것 말고는 치료법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훈 / 고려대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 />"(예방이나 치료법이 있나?) 현재까지 알려진 특효 백신이나 치료법은 없기 때문에. 야외 활동 시 긴옷을 입어서 노출을 자제하고,진드기 기피제를 몸에 발라서…" <br /> <br />한반도의 연 평균 기온은 매년 약 0.2도 씩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. 2050년이면 지금보다 약 3도 정도 높아질 전망입니다. <br /><br /> 지금이라도 아열대성 벌레의 구체적인 출몰 시기와 지역을 분석해 방어체계를 갖춰야 합니다. <br /> <br />채널 A 뉴스 변종국입니다. <br /><br />bjk@donga.com <br /> <br />영상취재 : 김덕룡 조승현 이철 <br />영상편집 : 강민 <br />글 구성 : 전다정 장윤경 <br />공동취재 : 김윤종(동아일보) <br />그래픽 :김민수